라벨이 프라임데이인 게시물 표시

블로그 모음

아마존 직구, 어떻게 해야 할까?

이미지
📋 목차 🔍 직구 준비물 이해 📝 계정·주소 설정 💳 결제·환율 체크 🚚 배송대행·직배송 🛃 관세·부가세 계산 🔄 반품·AS 대응 ❓ FAQ 해외 직구의 끝판왕이라 불리는 아마존은 상품군이 방대하고 가격 경쟁력이 높아요. 하지만 배송·관세가 복잡해 처음엔 겁이 나죠? 이번 글은 준비물→계정 설정→결제→배송→관세→반품 순서로 트리 구조로 정리했어요.   내가 생각했을 때 이 순서대로만 따라가면 첫 직구라도 실패 확률이 매우 낮아져요.   🔍 직구 준비물 이해 필수 준비물은 ①해외 결제 가능한 카드(비자·마스터), ②개인통관고유부호(P+12자리), ③영어 주소, ④통합관세정보 앱이에요.   부가 준비물로는 배대지(배송대행) 계정 , 환율 우대 체크카드 , 캐시백 사이트(라쿠텐) 이 있으면 추가 절약이 가능해요.   또한 시세 비교용 파이어폭스 확장 ‘Keepa’를 깔면 가격 변동 그래프를 바로 확인 가능해 타이밍 매수를 할 수 있어요.   🔍 준비물 체크표 항목 용도 비고 해외결제 카드 결제 수수료 1%대 통관부호 세관 신고 관세청 발급 배대지 미배송 상품 수령 미국/독일 창고   📝 계정 설정 GO 📝 계정·주소 설정 아마존 가입은 이메일·비밀번호만으로 끝나요. 가입 후 ‘Your Addresses’ 메뉴에서 영문 한국 주소 와 배대지 주소 두 개를 등록해 두면 상황별로 편리해요.   영문 주소 변환은 ‘도로명주소 영문변환’ 사이트에서 한글 주소를 입력하면 바로 변환돼요. State 칸에는 ‘Seoul’, ZIP에는 5자리 우편번호를 적어요.   배대지 주소는 배송창고 코드(예: Suite, PMB)를 정확히 넣어야 물건이 내 사서함으로 배정돼요. 빠뜨리면 분실 위험이 커요. ...